프로그래밍의 기본은 자료형!
Dev Center/JAVA start / 2010. 6. 24. 21:29
각각의 프로그램마다 자료형을 가지고 있다. 대부분 비슷한 형태의 자료형을 가지고 있지만, 그 자료형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다는 것은 자신의 프로그래밍 실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.
자바에서의 자료형.
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크게 상수와 변수의 두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. 상수는 고유한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고정적인 데이터 이다. 그와 반대로 변수는 상수로 구분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. 변수 안에는 어떠한 값이 들어가게 될지는 정해져있지 않은 것이다. 그리고 객체지향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자료형이 있는데 이것은 변수보다는 더욱더 확장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. 변수가 자바에 의해 정해진 틀로 생성되는 공간이라고 하면, 자료형은 사용자가 그 틀을 직접 만들어서 원하는 모양과 크기의 형태로 자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내게 된다.
기본자료형.
자바의 기본 자료형으로는 논리형, 정수형과 실수형, 그리고 클래스형이 있다. 논리형은 'boolean' 의 형태로 선언될 수 있으며 'true', 'false' 의 두가지 형태의 값만 가질 수 있다. 또 다른 자료형과는 다르게 형변환이 불가능하다. 정수형과 실수형은 수를 나타내는대 나타낼 수 있는 범위에 따라 그 사용이 달라지게 된다. 정수형 자료형은 byte, short, char, int, long 의 다섯가지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가용범위는 다음과 같다.
byte : 1byte (-128 ~ 127)
short : 2byte (-32768 ~ 32767)
char : 2byte (0 ~ 65535)
int : 4byte (-2147483648 ~ 2147483647)
long : 8byte (-922경 ~ 922경)
이중 'char' 형은 하나의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형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. 정수형 자료형은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 데이터를 나타내지만, 실수형 자료형은 소수점까지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더 정밀한 자료값이 필요할 때 사용하게 된다. 실수형 자료형은로는 float, double 의 두가지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 4byte, 8byte 의 자료를 나타낸다. 마지막으로 클래스형인 String 자료형이 있다. 이 자료형은 기본 자료형이라기 보다는 문자열을 여러개 이어놓은 것과 같다. 하지만, 문자열 데이터 같은 경우는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료형으로 나타낸다. 저장하고자 하는 자료를 따옴표로 묶어 주어야한다.
'Dev Center > JAVA star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를 특별하게 만드는 JavaDoc. (4) | 2010.06.28 |
---|---|
돌고도는 데이터들의 형변환 (0) | 2010.06.25 |
프로그래밍의 기본은 자료형! (0) | 2010.06.24 |
JAVA 를 하기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사실. (0) | 2010.06.23 |
첫 JAVA 프로젝트. (1) | 2010.06.20 |
JAVA는 커피의 이름이기도 하다? (0) | 2010.06.19 |
댓글을 달아 주세요